[지구정치신학], 캐서린 켈러 지음, 박일준 옮김, 2022, 대장간

by 마르셀 posted Oct 17,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구정치신학

 

<책소개>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다.
모두 익사하든지, 함께 헤쳐 나가든지.


기후변화와 생태위기는 왜 더는 진전하지 않을까? 이 문제는 우리에게 쉬운 해법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런데 모두가 기후변화와 생태위기를 타개하기에는 ‘이것이’ 대안이라며 확신에 차서 앞장서고 있지 않은가? 그것이 바로 문제의 일부이다.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실재의 복잡성을 쉽지 않게, 다시 말해 어렵게 이해하는 일이다.

인간은 지구의 지배자가 아니다. 빙하가 녹고, 물이 불어나고, 가뭄이 퍼지는 이 모든 상황 속에서 지구는 인간의 지배를 용납하지 않고 있다. 지구적 위기들은 곧 인간과 비인간 모두가 함께 얽힌 존재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늘 우리의 정치가 유념해야 하는 것은 바로 그 어떤 것도 존재의 얽힘으로부터 예외되거나 열외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후변화와 생태위기 시대 우리의 정치는 이 ‘얽힘’을 정치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목차>

옮긴이 해제

 

들어가는 글
카이로스와 응축/예외 없이/이 정치신학/어두워지는 희망/사전적 개괄


제1장 정치적인 것: 통치권력의 예외성인가? 집단적 시작인가? 
제2장 지구: 종료하는 기후, 폭로하는 물질 
제3장 신학: 지금은 무지한 게 더 낫다


역자 후기 

 

 

<저자 및 역자 소개>

저: 캐서린 켈러

드류대학교의 구성신학 교수로서, 요한계시록 해석의 세계적인 전문가이다.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에덴신학교, 클레어몬트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동서냉전 체제의 핵무기 경쟁과 함께 세계경제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인류세(Anthropocene)가 본격화되었고, 결국 인류는 두 가지 절박한 위기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핵전쟁 위기와 생태계 파괴와 기후변화로 인한 대멸종 위기다. 켈러는 휴거와 내세 중심의 현실도피적 종말론이 아니라 현실 변혁과 치유의 예언자적 종말론을 제시한다. 또한 성차별, 인종차별, 경제적 불의, 민주주의의 해체 위기 등 긴급한 문제들에 대해 과정신학, 여성신학, 생태신학, 정치신학의 관점에서 치열하게 접근하여 오늘날 가장 창조적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다. 발표한 저서들은 From a Broken Web: Separation, Sexism and Self (1988), Apocalypse Now & Then: A Feminist Guide to the End of the World (1996), Face of the Deep: A Theology of Becoming (2003), God and Power: Counter- Apocalyptic Journeys (2005), On the Mystery: Discerning God in Process (2008, 박일준 역, 『길 위의 신학』), Cloud of the Impossible: Negative Theology and Planetary Entanglement (2015), Incarnations: Exercises in Theological Possibility (2017) Political Theology of the Earth: Our Planetary Emergency and the Struggle for a New Public (2018, 박일준 역, 근간), 그리고 이 책 Facing Apocalypse: Climate, Democracy, and Other Last Chances (2021)가 있다.

 

역: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 교수이다.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을 거쳐 보스턴대학교(S.T.M.)와 드류대학교(Ph.D.)에서 학위 과정을 마쳤다. 종교학, 철학과 신학의 접경 지역들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공지능 시대, 인간을 묻다: 인간과 기계의 공생을 위한 포스트휴먼적 존재론』, 『정의의 신학: 둘(the Two)의 신학』, 종교와 철학 사이』(공저), Nature’s Transcendence and Immamence: A Comparative Interdisciplinary Ecstatic Naturalism (공저, 2018), A Philosophy of Sacred Nature: Prospects for Ecstatic Naturalism(공저, 201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