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용] “중국 내 항일 역사 보존할 법령 시급” (서울신문, 2021. 3. 1.)

by 한승훈 posted Mar 30,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301026032&wlog_tag3=naver

 

 

“중국 내 항일 역사 보존할 법령 시급”

 

‘대한독립 대장정’ 펴낸 김주용 교수

김주용 교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김주용 교수

전 세계 한국독립운동사적지는 1000여곳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절반 정도가 중국 지역에 있다. 중국 내 한국독립운동사적지를 가장 많이 찾아다닌 이로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가 꼽힌다. 3·1절을 앞두고 서울신문과 만난 그는 “이대로라면 중국 내 우리 항일 역사가 사라지고 말 것”이라는 우려부터 털어놨다.

김 교수는 2004~2017년 독립기념관에서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조사 책임연구원으로 일했다. 이 기간 여권에 찍힌 도장만 300개가 훌쩍 넘는다.

이번 3·1절을 맞아 2011~2014년 답사 기록을 정리해 ‘대한독립 대장정´(선인)이란 책으로 펴냈다. 책은 시안-베이징 루트, 광둥성-푸젠성 루트, 후난성·후베이성-안후이성 루트로 구성했다. 곳곳을 이 잡듯 다니며 거둔 예상외의 성과들을 책에 담았다. 2011년 시안 지역에서 20㎞ 떨어진 두취진을 방문했을 때 현지에서 만난 한 노인에게 우연히 새로운 증언을 얻어 새 기록을 첨부하기도 했다. 이범석 장군이 이끄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에 대한 얘기다. 총사령부는 1942년 9월 두취진에 자리잡았는데, 이 터에 양곡창고가 들어섰다는 게 일반적인 사실이었다. 현장에서 김 교수는 “바로 직전 관우를 모시는 사당인 관제묘가 있었다는 증언을 들었다. 그리고 200m 떨어진 곳에서 이범석 장군이 머물던 숙소도 찾아냈다”고 소개했다.

2013년 6월 30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조정영 중국 산시성 당서기를 접견하면서 한국광복군 제2지대에 기념비를 설치해 달라 제안했고, 중국이 이를 받아들였다. 기념비를 세울 때 김 교수의 그간 노력을 지켜보던 산시성 외교담당 국장은 “당신이 서 있는 바로 그 자리에 기념비를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렇게 2014년 5월 29일 기념비가 들어섰다.

책에는 충칭의 한국 총사령부 건물 복원, 베이징동물원 내부에서 발견한 1923년 군사통일준비위원회 당시 박용만과 신채호의 회의 장소, 광둥성 포산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피난처 지도 발견 등 이야기가 담겼다. 현지를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발견하고 확인하며 되살린 자료들이다. 그는 이와 관련, “중국에 있는 한국독립운동사적지를 복원하려면 이렇게 발로 뛰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교수가 된 뒤론 예전처럼 중국에 자주 갈 수가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때문에 더더욱 갈 수 없게 됐다”며 안타까움을 전했다. 그러면서 “지난해가 봉오동전투, 청산리대첩 100주년이었는데 제대로 된 자료집 하나 없이 행사만 요란했다”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 독립운동이 대단했다고 그저 말만 해선 안 됩니다. 우리 선열들은 목숨을 내놓고 싸웠는데, 후손들이 정작 관리에는 옹색해요. 해외 한국독립운동사적지 보존을 위한 법령을 마련해 장기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데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글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사진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2021-03-01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