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용] 거대한 자연재난, 그 뒤에 따라오는 혐오, 《프레시안》, 2023.02.17.

by 마르셀 posted Sep 22,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아래의 URL 주소를 클릭해주세요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021617130253929

 

 

거대한 자연재난, 그 뒤에 따라오는 혐오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관동대지진과 제노사이드

 

 

 

재난을 대하는 인류의 자세

 

2020년 1월 창궐한 코로나 19도 벌써 3년이 지났다. 인류는 민족과 국가 간의 침략과 대결이라는 안보 구도에서 이제는 바이러스라는 오래된 존재와의 대결을 매일매일 이어나가고 있다. 얼마 전 영화 <아바타 2-물의 길>이 개봉됐다. 이야기 속에는 인류가 걸어온 길과 걸어갈 길을 보여줬다.

 

대학살, 난민 그리고 저항이 인류의 모습과 더불어 우리와 공존해야 하는 지구생명체들의 모습까지도 오늘날은 너무도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적 관점에서 우리에게 던진 화두는 무엇일까. "인간, 착각하지마라, 지구가 너희 소유는 아니다"라는 것은 아닐까. 

 

하지만 인간은 아직까지도 오만한 것 같다. 지구의 대지를 자신들의 '영토'로만 여기기 때문이다. 이를 방증하듯 지금까지 동북아에서도 이민족간의 침략과 저항은 수천 년간 이어져 왔다. 

 

100년 전 일본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도쿄를 위시한 요코하마, 치바 등 일본 관동 지역에서 진도 7.9의 강진 이른바 즉 '관동대지진'은 제국주의 일본의 수도를 폐허로 만들었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자본주의 체제를 '종교'처럼 받들어온 일본의 속도전이 무색할 만큼 1923년 도쿄에 대한 '자연공습'은 처참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9만여 명, 부상자 10만 여명, 행불자 4만여 명, 이재민 총수 340만여 명, 소실 가옥 44만 여 채 등 그 피해는 이루 헤아리기 어려웠다. 참혹함 그 자체였다. 

 

2023021619071870140_l.jpg ▲ 요코아미쵸 공원 내 부흥기념관 안내 입간판 ⓒ김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