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원] 중국, 기초학문인 수학 인재 양성에 힘쓰는 이유는?, 《프레시안》, 2023.04.17.

by 마르셀 posted Sep 22,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아래의 URL 주소를 클릭해주세요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041714494470687

 

 

중국, 기초학문인 수학 인재 양성에 힘쓰는 이유는?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치우청퉁 칭화대 교수 주도로 이뤄지는 수학 엘리트 양성 

 

 

 

 

 5G 인터넷과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igence, 이하 AI) 분야의 발전으로 인해 수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내외에서 수학 전문가와 수학을 응용하여 5G 인터넷과 AI 분야에서 일할 수 있는 인재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도 중앙정부와 주요 대학들이 5G 인터넷과 AI 등의 신산업 진흥, 수학과 수학을 활용해야 하는 기초과학 분야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수학 인재의 양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의 세계적 수학자인 치우청퉁(丘成桐) 칭화대 교수의 역량과 업적에 대하여 소개하고 그가 시진핑 국가주석의 지지 하에 칭화대에서 중국의 수학 인재 양성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된 배경과 치우청퉁 교수가 본 중국의 수학 인재 양성의 어려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치우청퉁 교수의 수학 인재 양성 사업이 한국과 중국 간의 학술 및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 한국 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겠다.

 

1949년 4월 중국 광둥(廣東)성 산터우(山頭)에서 태어난 치우청퉁은 1966년 홍콩중문대학 수학과에 입학해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1969년에 미분기하학의 대가인 천싱선 교수의 지도 하에 미국 버클리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치우청퉁은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 훌륭한 연구업적들을 발표하였고 33세에 수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수상했다. 

 

치우청퉁이 미분기하학과 대수기하학을 활용하여 입증해 낸 칼라비-야우 다양체(Calabi–Yau manifold)는 고에너지 물리에서 우주의 주요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치우청퉁은 미국 하버드대의 물리학과, 수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수학과 제어론, 그래프 이론,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3차원 이미지 처리 등 공학의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칭화대학은 치우청퉁 교수의 탁월한 연구 성과와 교육 역량을 활용하기 위해 그를 2009년 수학과학센터 주임으로 초빙했다. 그 이후 치우청퉁은 칭화대의 수학 연구와 수학 관련 인재 양성에 참여하게 되었고 2018년 2월부터는 칭화대에 치우청퉁 수학 영재반을 운영하면서 국제적으로 학술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필즈상을 받을 수 있는 수학 엘리트 양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세계 수준의 수학 엘리트 양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20년 10월에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자신이 중국의 수학 인재 양성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그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2020년 말에 치우청퉁 교수의 주도 하에 칭화대가 '치우청퉁 수학과학엘리트인재 양성계획(丘成桐数学科学领军人才培养计划, 이하 치우청퉁 수학엘리트 양성계획)'을 추진할 수 있게 했다. 

 

2023041714590373901_l.jpg ▲ 치우청퉁 교수가 지난해 4월 20일 칭화대학 석좌교수로 임명된 이후 중국 공영방송 CCTV 와 인터뷰를 가졌다. ⓒCCTV 방송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