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영] 고려인과 조선족, 대한민국의 소중한 재외동포, 《프레시안》, 2024.05.03

by NEAD posted Jun 25,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4050218292055497

 

 

고려인과 조선족, 대한민국의 소중한 재외동포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러시아 이주 160주년 –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시작

 
 
 
 
 

한민족 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는 원래 대문자 'Diaspora'를 써서 팔레스타인이나 이스라엘 밖에 거주하는 유대인을 가리키는 용어로 '이산(離散)'을 뜻하는 단어였다가 점차 다른 민족들의 이산, 망명, 이주, 난민 등을 나타내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사용될 때는 소문자 'diaspora'를 쓴다.

 

한반도 사람들의 초기 디아스포라 중 잘 알려진 것은 20세기 초반 일제가 조선의 외교권을 강탈하던 무렵 하와이로 증기선을 타고 건너간 1세대 이주민들이다. 이들은 타국의 어려운 생활과 극심한 노동착취 속에서도 십시일반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댔던 슬프고도 감동적인 역사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한인의 디아스포라는 이보다 훨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 세계 700만 재외한인 이주의 역사적 모태가 된 것은 빈궁한 삶을 벗어나기 위해 국경을 넘어 러시아의 극동지역으로 건너가 황무지였던 연해주를 개척하고 한인 정착촌을 건설한 조선인들이다. 

 

기록에 따르면 1850년대에 이미 두만강과 압록강을 넘어 러시아 극동지역과 시베리아지역으로 들어간 조선인들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 공식적으로 조선인의 러시아 이주는 1863년 말, 양력으로 1864년 초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고, 2024년은 러시아 이주 160주년이 되는 해이다. 

 

러시아 이주 160주년은 곧 한민족의 이주사 160주년을 의미하기도 한다. 올해 러시아와 한국에서는 고려인 및 한인 이주 1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추진위 발대식이 열렸고, 9월에 한국의 충청남도와 러시아의 연해주 블라디보스톡에서 기념행사가 계획되어 있다. 구소련 한인과 세계 한인단체가 함께 모이는 기념행사의 주제는 <글로벌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유라시아 평화와 협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