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의 제노사이드 : 학살의 기억, 상처의 치유] 연구총서 6

by 마르셀 posted Feb 12,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c1e43240e359ef82796c792d1441b24.png

 

 

 

책소개

 

 

: 이 책은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HK+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동북아 공동번영을 위한 동북아시아다이멘션 NEAD 토대 구축”사업의 연구 성과를 담은 여섯 번째 연구총서다. 이번 총서는 “동북아의 제노사이드: 학살의 기억, 상처의 치유”라는 제목으로 제4차 국제학술대회 〈동북아 역사 문화의 상처와 치유: 제노사이드를 중심으로〉(2020.12.17.)등에 발표된 글을 모았다. 동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열강의 위치에 오른 일본은 한반도의 식민화와 중국을 침략하는 등 동아시아를 폭력을 시대로 물들였다. 이념 차이와 민족의 대립으로 특정 구성원을 대량학살한 제노사이드의 관점으로 동북아시아 역사를 다시 보아 ‘참변’과 ‘학살’ 등으로 불렸던 역사적 사건을 가능하게 했던 거대한 조직적 움직임과 국가 폭력, 그 시대를 증언하고자 했던 사람들의 몸부림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종과 이념을 명분으로한 불평등하고 잔인한 역사를 직면함으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의 새 시대를 여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목차

발간사

총론
-동아시아의 근대, 학살의 시대 _ 박노자
1. "동아시아의 장기 평화", 내지 "휴전"?
2. 동아시아와 자본주의 세계 체제: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3. 학살의 세기, 동아시아의 20세기
4. "피해 민족주의"와 그 한계
5. 결론

1부 일본 제국주의와 제노사이드

 

미국인, 영국인, 독일인이 기록한 난징대학살_루수핑

- The nanjing Massacre Recorded by the American, British and German Nationals_Suping Lu

 
제국주의 일본군의 간도 한인 학살과 타자의 시선_김주용
- 창사(長沙) 
대공보(大公報)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훈춘사건과 중국의 인식
3. 보복의 억지 그림자, '간도출병'
4. 경심참변과 한국독립운동의 동향 보도
5. 맺음말

 

동학농민혁명기 일본군의 동학농민군 학살_성주현

1. 머리말
2. 동학농민혁명과 동학농민군의 희생자 현황
3. 일본군의 동학농민군 학살 양태

4. 맺음말

 

'제2의 제암리 사건' 장암촌 학살의 실태와 여파

1. 머리말

2. 장암소탕상보』로 본 학살의 실태

3. 선교사들의 보고서에 나타난 학살 실태

4. 육군성 미즈마치 대좌의 대응

5. 영국 및 캐나다 전도본부의 항의

6. 맺음말 

 

 

2부 동북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치유
 

관동대진재와 한인학살, 그 망각과 기억의 소환
1. 머리말
2. 학살의 기억, 관련 연구 성과
3. 학살의 망각, 역사 수정주의의 공격
4. 기억의 소환, 한일 연대의 가능성
5. 맺음말

난징대학살 심판과 아시아 부재론 -은폐와 부정-_유지아
1. 머리말
2. 난징대학살에 대한 전범재판의 시작: 난징군사법정
3. 난징대학살에 대한 전범재판의 종결: 도쿄재판 
4. 난징대학살 재판에 나타난 아시아 부재
5. 맺음말


청일전쟁과 일본군의 여순 대학살: 진실과 기억
1. 들어가는 말
2. 일본군의 화원구 등륙과 청군의 저항
3. 일본군 여순 대학살의 기록과 진실 
4. 나오는 말

 

제노사이드, 기억, 죄책감: 가지마야 도시유키의 '이조잔영'에 재현된 제암리 교회 학살 사건의 의미_조윤정
1. 재현의 시점과 만들어진 기억
2. 귀환자가 일본의 억압된 기억에 대응하는 방법
3. 제암리 학살을 재현하는 영화의 정치성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