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학술회의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개최 학술회의 소식란입니다.


  1. [제 24차 콜로키움] “현대 중국과 한중관계의 미래” _ 장청강 주광주 중화인민공화국 총영사 (2021.5.11)

  2. [제 22차 콜로키움] “창세신화의 이해: 개념, 유형, 분석 사례 등을 중심으로” _ 최원오 광주교대 교수 (2021.4.14)

  3. [제 21차 콜로키움] “중국 고전과 서학 사이: "천(天)", '천연(天演)'그리고 "적자(適者)에 대한 옌푸(嚴複)"의 시각” _ 왕중강 중국 북경대 교수 (2021년 4월 1일)

  4. [제 20회 콜로키움] “유라시아 창세신화와 한국” _조현설 서울대 교수 (2021년 3월 31일)

  5. [제 19회 콜로키움] “세계사 속의 근대 한국사: 램지어 사태의 교훈” _이진희 미국 이스턴일리노이주립대 교수 (2021년 3월 26일)

  6. 동북아 내셔널리즘의 형성과 변화(2021년 3월 4일) [제21차 학술회의]

  7. 동북유라시아 문화의 교접과 혼종(2021년 2월 26일)[제5차 국제학술회의]

  8. 동북아 교역 · 교류의 사상지형과 지역질서(2021년 2월 18일)[제 20차 학술회의]

  9. [제 19차 학술회의] 동북아시아의 갈등과 현재 (2021년 1월 21일)

  10. [제 18회 콜로키움]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Korean Divisions” (집단 책임과 한국의 분단)_마크 카프리오 일본 릿교 대학 교수 (2020년 12월 17일)

  11. [제 4차 국제학술회의] 동북아 역사·문화의 상처와 치유: 제노사이드를 중심으로 (2020년 12월 17일)

  12. [제 17회 콜로키움] 문화변용론으로서 동아시아의 ‘근대적 지형도(知形圖)’ 해독_강원대 이광래 명예교수(2020년 12월 10일)

  13. [제 15회 콜로키움] 학살의 기억과 망각의 역사-관동대지진과 조선인(한인)_강덕상, 이규수 교수님(2020년 9월 24일)

  14. [제 18차 학술회의] 탈경계의 시대와 동아시아 인식의 현재적 지평 (2020년 8월 7일)

  15. [제 16회 콜로키움] 유라시아 곰 신화와 웅녀의 강림_베트남 유이떤대학 김재희 교수(2020년 11월 5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