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학술회의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개최 학술회의 소식란입니다.

Microsoft PowerPoint - 21차콜로키움.pdf_page_1.jpg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중국 북경대 왕중강 교수 초청 제21차 콜로키움 개최

 

noname01.png

원광대학교(총장 박맹수) 한중관계연구원·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원장 김정현) HK+연구단은 오는 41일 오후 2<중국 고전과 서학 사이: “()”, “천연(天演)”, 그리고 적자(適者)”에 대한 옌푸(嚴複)의 시각>라는 주제로 콜로키움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회의는 'VooV Meeting'으로 진행되며 발표자와 토론자 이외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참가 방법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고: http://www.nead.or.kr/)

 

 

이번 콜로키움에서 초청한 왕중강(王中江) 교수는 북경대학 철학과 박사로, 하남성 사회과학원 연구원, 철학연구소 소장,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연구원, 청화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한 바 있고, 현재는 북경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임 중이며, 중화공자학회 회장과 노자학연구회 회장을 겸임하고 있다.

 

 

장강(長江)학자 특별초빙교수이기도 한 왕중강 교수는 최근 간백(簡帛)문명과 고대 사상세계, 유가정신의 도와 사회적 역할, 도가학설의 관념사연구를 비롯해 중국어, 일본어, 영어로 출간한 20여 편의 저작들이 있으며, 발표한 논문은 180여 편에 이르고, 중국철학전안총서(中國哲學前沿叢書), 출토문헌과 조기중국사상 신지논총(出土文獻與早期中國思想新知論叢), 신철학, 중국철학, 노자학집간등 여러 잡지의 편집장을 맡고 있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근대 중국에 서양 학문을 전파한 옌푸(嚴復, 1854-1921)가 스펜서와 헉슬리의 진화론을 어떻게 옌푸식진화론으로 발전시켰는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옌푸는 진화를 천연(天演)”이라고 번역하였는데, 그것은 고대부터 하늘()을 중시해온 중국인의 전통적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옌푸는 전통적 사고방식에만 머물지 않고, 다윈의 생물진화론, 스펜서의 철학진화론, 그리고 헉슬리의 윤리진화론을 선택·융합하여, 헉슬리의 진화와 윤리을 번역함으로써 옌푸식진화론을 창조했다. 왕교수는 그것을 특히 ()” 개념을 통해 밝힐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 [제32차 NEAD 국내학술회의] 동북아 평화와 상생을 위한 도시네트워크(2023.08.31. 목) file 마르셀 2023.09.22 82
50 [제31차 NEAD 학술회의] 공동체를 넘어 공생체로-미래공생을 위한 철학의 연대(2023.06.10. 토) file 마르셀 2023.09.22 100
49 [제30차 학술회의] 동북아 종교와 사회적 상상의 위기 _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종교문제연구소 2022.11.25 (금) file 마르셀 2022.11.21 163
48 [제2차 평화공생체 심포지움] 인류세의 시대, 공생을 위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들 _ 지식공동체 수유너머 104 최유미(2023.06.15. 목) file 마르셀 2023.09.22 78
47 [제29차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생활세계의 위기, 그 인식과 성찰 _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인문학연구소 2022.10.27 (목) file 마르셀 2022.10.20 106
46 [제27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청년의 교차하는 감정들 (2022.1.27) file 마르셀 2022.01.18 175
45 [제26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 20세기 초 동북아 사상의 전이와 재형성 (2022.1.25) file 마르셀 2022.01.17 155
44 [제25차 NEAD 학술회의] 종교의 무엇이 폭력이 되는가 (2022.1.13) file 마르셀 2022.01.06 152
43 [제24차 NEAD학술회의]- 동북아시아 디아스포라 문학: 접경과변이 (2121년 12월 10일) {동북아시아 인문사회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공동학술회의) file 마르셀 2021.12.06 107
42 [제23차 NEAD 학술회의] 역사 속 지방의 위기와 대응 (2021.10.30) file 마르셀 2021.12.27 100
41 [제1차 평화공생체 심포지움] 어떻게 함께 살 것인가? _ 서울과학기술대학 최진석 교수, 2023.03.28 (화) file 마르셀 2023.09.22 54
40 [제1차 NEAD 학술좌담회] 생명·평화·공존'을 지향하며"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을 매개로 한 한일 교류(2023.06.01. 목) file 마르셀 2023.09.22 76
39 [제 4차 국제학술회의] 동북아 역사·문화의 상처와 치유: 제노사이드를 중심으로 (2020년 12월 17일) file 마르셀 2020.12.14 165
38 [제 39차 콜로키움]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 국가, 공공성 : 동북아 기후위기 속 종교의 공공성 고찰 (2022.07.27) file 마르셀 2022.07.19 84
37 [제 38차 콜로키움] 생태위기와 인권위기는 하나 _ 성공희대 조효제 교수 (2022.07.14) file 마르셀 2022.06.29 1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