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학술회의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개최 학술회의 소식란입니다.

KakaoTalk_20210906_124101114.jpg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제28차 콜로키움- 가쓰무라 마코토 교수에게서 듣는 <동북아시아의 평화사상과 제국주의 전쟁>

 

원광대(총장 박맹수) 한중관계연구원(원장 김정현)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는 오는 202199() 오후2 28차 콜로키움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Zoom ID: 662 481 0664 Zoom PW: 12345) 이번 콜로키움의 연사는 일본 리츠메이칸 대학 정책과학부의 가쓰무라 마코토(勝村誠)교수이다.

 

가쓰무라 마코토 교수는 1999년 리츠메이칸대학 정책과학부 교수가 된 이래 일본정치사와 전후 일본외교사를 가르치고 있다. 가쓰무라 교수는 리츠메이칸대학의 코리아연구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어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많은 학자로,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과 동북아평화공동체의 모색>(2016), <한일관계와 한국학 관련 연구센터의 현황 및 활동, 그리고 과제>(2019), <일본에서 본 안중근과 동양평화론>(2020) 등 안중근을 비롯한 독립운동가의 평화사상 및 활동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해오고 있다.

 

이번 콜로키움의 주제는 <동북아시아의 평화사상과 제국주의 전쟁-반전활동가를 중심으로>이다. 가쓰무라 교수는 이번 기회에 제국주의가 팽배했던 근대일본의 평화사상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가쓰무라 교수는 이번 콜로키움에서 일본 근대의 프롤레타리아 소설가인 나카니시 이노스케(1887-1958)1930년 전후 활동에 초점을 두고 강연을 할 예정이다. 한국에는 생소한 나카니시 이노스케는 <붉은 흙에 싹 트는 것>(1922)으로 문단에 데뷔한 소설가이다. 만주사변 당시 만주로 직접 가서 만주에서 일어난 전황을 일본인들에게 르포 형식으로 전한 인물이기도 하다


  1. [제7차 국제 학술회의] 동북아시아의 생태위기와 공생: 연대와 협력의 길을 묻다 _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주최 2022.10(목) - 11(금)

     
    Date2022.11.03 By마르셀 Views445
    Read More
  2. [제43차 콜로키움] 미중갈등 구조와 한중관계의 관리방향 _ 전 원광대 총장, 전 통일부 장관 정세현 2022.11. (화)

     
    Date2022.10.31 By마르셀 Views195
    Read More
  3. [제29차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생활세계의 위기, 그 인식과 성찰 _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인문학연구소 2022.10.27 (목)

     
    Date2022.10.20 By마르셀 Views188
    Read More
  4. [제42차 콜로키움] 일본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_ 계명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박승현 교수

     
    Date2022.10.05 By마르셀 Views200
    Read More
  5. [제41차 콜로키움] 이시이 바쿠(石井漠)와 식민지조선 _ 히토쓰바시대학대학원 언어사회연구과 이연숙 교수

     
    Date2022.08.31 By마르셀 Views177
    Read More
  6. [제40차 콜로키움] 글로벌 기후 위기와 도시의 대응 _ 연세대 국제관계학과 신상범 교수 (2022.08.30)

     
    Date2022.08.17 By마르셀 Views219
    Read More
  7. [제 28차 NEAD공동학술회의] 동북아시아의 위기와 그 변화의 모색 (2022.07.29)

     
    Date2022.07.25 By마르셀 Views221
    Read More
  8. [제 39차 콜로키움] 포스트-팬데믹 시대 종교, 국가, 공공성 : 동북아 기후위기 속 종교의 공공성 고찰 (2022.07.27)

     
    Date2022.07.19 By마르셀 Views183
    Read More
  9. [제 38차 콜로키움] 생태위기와 인권위기는 하나 _ 성공희대 조효제 교수 (2022.07.14)

       
    Date2022.06.29 By마르셀 Views208
    Read More
  10. [제 37차 콜로키움] 동양평화론의 21세기적 재평가 _ 일본 류코쿠대학 명예교수 이수임 (2022.06.16)

     
    Date2022.06.09 By마르셀 Views211
    Read More
  11. [제 36차 콜로키움] 가상세계와 근대성의 신화 _ 뉴욕 맨하턴 칼리지 로버트 M. 제라시(Robert M. Geraci)교수 (2022.05.19)

       
    Date2022.05.10 By마르셀 Views220
    Read More
  12. [제 35차 콜로키움] 동아시아와 토착적 근대 _ 기타지마 기신 일본 요카이치대학 명예교수 (2022.04.19)

    Date2022.05.09 By마르셀 Views182
    Read More
  13. [제 34차 콜로키움] 동아시아의 눈으로 동아시아를 본다 _ 서승 우석대 (2022.03.22)

    Date2022.05.09 By마르셀 Views178
    Read More
  14. [제 33차 콜로키움] 동북아시아 평화와 북한: 서로 다른 관점과 방법론,개념들 _ 김광운 경운대 초빙석좌교수 (2022.02.10)

    Date2022.05.09 By마르셀 Views148
    Read More
  15. [제27차 NEAD 학술회의] 동북아시아 청년의 교차하는 감정들 (2022.1.27)

       
    Date2022.01.18 By마르셀 Views3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