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아래의 URL 주소를 클릭해주세요
http://www.wk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0789
[반갑다 아시아] 아시아 항공 허브 패권- 인천국제공항, 싱가폴 창이공항, 북경 수도공항 경쟁
국제도시 홍콩은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까
하늘길이 다시 열렸다. 오랜만에 해외에서 이국의 문화와 공기를 마시고 새 학기를 맞이한 이들도 있으리라. 유난히 엄격했던 동아시아 각 지역의 록다운 해제는 한국을 비롯한 이 지역 전통의 관광지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근 삼여 년 동안 한산하던 인천국제공항은 드나드는 여행객들로 분주하다. 한국의 일본 여행객 숫자는 록다운 이전 수치를 빠르게 회복 중이다. 동남아를 찾는 여행객도 폭증했다고 한다. 거리를 걷다 보면 한동안 보기 어려워진 외국인 관광객들을 종종 만날 수 있다. 그래, 원래 이랬었지. 해외 방문이 자유로워지면서 다시 샘솟는 여행의 감각 그리고 거리에 보이는 외국인 관광객. 이제야 비로소 지긋지긋했던 팬데믹 시국이 끝나고 코로나 이전을 회복하고 있다는 사실이 실감이 난다.
그러나 록다운 해제 이후 이전과는 다른 현실을 마주한 지역도 있다. 바로 홍콩이다. 겨울 성수기를 맞아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 관광산업이 다시 활기를 찾는 동안 홍콩을 찾은 관광객 숫자는 기대를 한참 밑돌았다고 한다. 세계를 상대로 '홍콩방문'을 홍보하며 공짜에 가까운 항공권 바우처를 발행하기까지 했는데도 말이다. 누군가는 항공권 바우처를 나눠주면서까지 관광업 부흥에 나서는 홍콩당국의 조처에 과도하다는 느낌을 받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홍콩에서 민간항공에 기반한 국제관광은 단순한 산업이 아니다. 식민지 시절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홍콩의 가장 중요한 도시 정체성인 코스모폴리타니즘의 물적 근간이다.
이십 세기 내내 홍콩은 아시아의 국제 민간항공 여객을 선도해온 명실상부한 허브였다. 이는 당시 국제여객 산업을 선도했던 영국과 미국 양쪽 이익에 부합하는 절묘한 홍콩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이었다. 국제 민간 항공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는 1930년대였는데, 당시 이를 주도했던 나라는 거대한 영토를 기반으로 장거리 항공 노하우를 일찌감치 보유한 미국이었다. 미국은 당시 식민지였던 필리핀의 수도 마닐라를 허브로 낙점하고 아시아 지역에 민간항공 기반을 쌓아나갔다. 이에 질세라 같은 시기 영국은 동남아 최대 항구였던 식민지 싱가포르를 대영제국 민간항공의 아시아 허브로 지정하여 민간항공 여객을 개시했다.
싱가포르와 마닐라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시작된 아시아의 민간항공 여객 산업은 두 지역 중간에 위치한 홍콩의 항공산업 번영으로 이어졌다. 그 시작은 홍콩의 중심지 침사추이 옆에 마련된 작은 활주로인 카이탁이 영국과 미국이 각각 선정한 아시아 허브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면서부터였다. 카이탁은 싱가포르와 마닐라행 항공 여객에 더해 남중국의 막대한 항공 수요를 급속하게 흡수하면서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싱가포르와 마닐라를 넘어 아시아 민간 국제항공의 사실상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다 세계 이차대전 이후부터는 싱가포르와 마닐라 기착지를 넘어 아시아 항공 여객의 허브라는 위상을 확고히 하였다.
출처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http://www.wk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