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 물을 끓일 때 사용하는 주전자 '사모바르' 러시아에서 물을 끓일 때 사용하는 주전자 '사모바르'
러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도시락면' 러시아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도시락면'

 

인간의 식문화는 특정 지역의 기후와 지리적 특성, 종교, 관습 등의 포괄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것이다.

 고대 러시아인 식문화의 중심에는 '카샤'와 '블린'이 있었다. 카샤는 죽으로 호밀과 보리, 귀리 등으로 만들었고, 결혼식의 중심 음식이었으며 전쟁 시 평화를 상징하기도 했을 정도로 중요했다. 블린은 팬케이크로 러시아인이 기독교 세례를 받기 전 믿었던 토속신앙의 영향으로 태양을 닮은 둥근 모양이었다. 빵과 소금은 외부인을 환대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하나의 예식이 되었다. 쟁반에 둥근 빵과 소금을 얹어 환대의식을 치르는 것을 '흘례바쏠리예(빵과 소금)'라고 부르며 이러한 환영의 방식은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독교 수용 이후에는 7개월이나 이어지게 된 육식 금지 기간에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캐비어가 러시아인의 식탁에 오르기 시작했다. 몽골과 같은 아시아권의 영향을 받은 후에는 면과 만두, 차(茶)문화가 널리 사랑받기 시작했다. 1440년대~70년대에는 호밀로 만든 보드카도 마시기 시작했다. 그러나 기후환경, 농업기술 문제 등으로 인해 러시아인의 식문화는 상대적으로 소박하고 단순했다. 

 이런 러시아 식탁이 보다 풍요롭고 다양해진 것은 18세기 표트르 대제와 예카테리나 2세가 구가한 찬란한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대부터이다. 커피, 포도주, 샴페인, 초컬릿, 담배, 케이크 등이 귀족의 파티를 더욱 다채롭게 했고, 유럽에서 데려온 외국 요리사들과 함께 새로운 수프와 커틀렛, 샌드위치 같은 음식들이 대거 등장했다. 19세기 나폴레옹과 러시아의 전쟁 이후에는 한 상에 모든 음식을 차리지 않고 식전주와 전채요리부터 시작해 디저트까지 순서대로 음식을 내오는 러시아식 식사습관이 유럽에까지 퍼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