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서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구성원이 저술한 도서를 소개합니다.

조회 수 2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8974839717_1.jpg

 

1,000일간의 유라시아 대장정을 마치고 돌아온
역사학자 이병한의 뜨거운 책, 《유라시아 견문》 3부작 완간!

“연암 박지원처럼 생각하고 유발 하라리처럼 쓴, 이 시대의 문명 박물지”


젊은 역사학자 이병한의 장대한 대서사, 《유라시아 견문》 3부작이 드디어 완간됐다! 지난 2016년 첫 출간 당시부터 뜨거운 반향을 일으키면서 독자들에게 ‘개안(開眼)’의 충격과 열띤 논쟁을 선사했던 화제의 책이다. 2015년 해방 70주년을 맞아 ‘유라시아 견문’을 떠난 이래 꼬박 3년, 1000일 동안 100개 나라, 1000개 도시를 주유했던 담대한 여정이 2019년 3.1운동 100주년의 벽두에 비로소 대단원의 막을 내린 것이다.

저자는 구미 중심의 패권경쟁과 냉전질서로 유지되던 이제까지의 세계체제가 막을 내리고 동/서, 고/금, 구대륙/신대륙의 대반전(大反轉)이 전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를 ‘반전의 시대’라 명명한 바 있다. 이 책은 그러한 ‘반전’의 시대적 징후를 유라시아 도처에서 목도하며 증언하는, 성실하고 통찰 가득한 견문록이다. 단순한 기행이나 여행이 아니라, 가깝게는 《서유견문》을 잇고 멀리는 혜초와 마르코 폴로와 이븐 바투타의 견문을 계승한다. 전인미답의 길을 개척했던 선구자들의 길을 21세기의 오늘날 계승한, 한국 아니 나아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유라시아 대장정 1000일의 기록’이자, 유라시아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유라시아-사(事/史)의 재구성이다. 그리고 이제 학계와 문화계는 물론 정계와 재계까지도, 이 새롭게 도래하는 ‘유라시아 시대’의 개막을 크게 주목하고 있다.

미래는 다시 ‘유라시아의 길’로 열린다!
유라시아 재통합 현장 견문 마지막 이야기, 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유라시아 견문》 제1권이 중화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문명 간 교류와 재건을 통해 유라시아의 초원길과 바닷길이 다시 연결되고 부활하는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었다면, 제2권에서는 히말라야에서 지중해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인도양 세계와 페르시아 및 아라비아 세계를 조망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제3권은 서세동점 ‘대항해 시대’의 출항을 알린 유라시아 극서(極西)의 도시 리스본(포르투갈)에서 출발해 유럽과 발칸, 중앙아시아, 러시아, 시베리아를 거쳐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와 홋카이도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유라시아 대륙을 서(西)에서 동(東)으로 횡단하는 아주 긴 ‘귀로’의 여정이다.

제3권에서는 천 년 중세를 지운 ‘서구사’의 탄생과 쇠락, 21세기까지도 지속된 천 년 종교전쟁의 근현대사, 500년 다문명 세계의 축복이 20세기의 저주가 되었던 발칸반도 내전의 기원, 칸트와 성리학 등 유라시아의 합작품이었던 근대 계몽사상의 재해석, ‘가톨릭 계몽주의’에서 ‘기독교 민주주의’와 ‘정교 유라시아주의’까지 가톨릭과 개신교와 동방정교 세계의 길항, 로마 세계와 오스만 세계와 튀르크 세계와 유?불?선 세계가 합류하고 교류했던 옛 세계의 귀환, 소비에트가 ‘고의식(古儀式)파’ 정교도의 민회에서 비롯했다는 혁명 전후사의 재인식, 바이칼과 시베리아의 모피길에서 ‘아이스 로드’까지, 메이지유신 대동아공영론에서 안중근의 동유라시아 평화론까지, 유라시아의 어제와 오늘이 씨실과 날실처럼 종횡무진 엮이면서 다채로운 중층의 ‘유라시아/사’를 재구성한다. 현재 유라시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격동의 순간들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담아내는 유라시아-사(事)이자, 지난 세기 동안 단절되고 일그러진 유라시아-사(史)를 온전히 복원해냄으로써, 1990년대 등장한 ‘동아시아론’에서 한층 진일보한 ‘유라시아론’을 제기한다.

무엇보다 이 책의 백미는, 유라시아 곳곳의 지식인들과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는 지성의 향연이다. 제3권에서는 발칸 출신으로 슬라보이 지제크 이후 가장 잘나가는 좌파 지식인이자 유럽의 대안정치운동의 청년 기수인 스레츠코 호르바트(뉴욕에서 ‘점령하라’ 운동을 펼친 장본인이기도 하다), 폴란드 민주화 운동의 산파이자 폴란드의 사상적 지도자로서 현직 유럽의회 의원인 리샤르트 레구트코, 21세기 신(新)유라시아주의 운동의 기수이자 푸틴 대통령의 ‘브레인’으로 유명한 대사상가 알렉산드르 두긴, 프랑스의 역사학자이자 인구학자로서 유럽의 ‘공화국의 위기’를 날카롭게 진단하는 에마뉘엘 토드와의 뜨거운 대화들이 이어진다.

Point 1 동/서의 대반전

유라시아 극서의 이베리아반도는 유럽과 아시아의 대분기, 근대 세계체제가 출발한 곳이다. 종교개혁과 르네상스의 바람을 거부하며 최후의 십자군 전쟁이 예외적으로 이곳에서 성공함으로써 대항해 시대를 열어젖히고, 세계사의 변방에서 ‘다른 세계사’로 뻗어 나가게 된 것이다. 그러나 ‘세계화의 덫’ 이후, 현재는 전혀 다른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유길준이 《서유견문》에서 학습했던 서유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포스트-웨스트(West), 포스트-트루스(Truth) 시대, 유럽이 유라시아의 한 ‘지방’으로 제 자리를 찾아가는 또 다른 세계사의 현장을 천착한다.

지난 백 년 서방 세계(The West)를 형성했던 미국과 유럽의 연결망이 느슨해지고 있다. 유럽에서 미국의 뜻을 대리했던 영국의 이탈(브렉시트)로 이 흐름은 더욱 빨라지고 있다. 대서양이 멀어지면서 구/미(歐美)는 분기하고, 오래된 구-아(歐亞)의 연결망, 즉 유라시아의 실크로드가 현대적으로 업그레이드/업데이트되고 있다. 프랑스 대선 현장에서 ‘샤를리 히스테리’와 ‘가짜 민주주의’의 우울함을 목격하고, 유럽의 수도 브뤼셀에서 유럽연합(EU)과 아세안(ASEAN)의 엇갈리는 운명을 목도하는 것은, 저물어가는 앙시앵레짐의 한 단면이기도 할 것이다.

동아시아에 ‘1987년 체제’가 있다면, 동유럽에는 ‘1989년 체제’가 있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짐으로써 동유럽 전체에서 서구형 개조, 즉 민주화와 시장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그로부터 20년이 흐른 지금, 동유럽에서는 대반전의 물결이 역력하다. 특히 가장 파국적인 경험을 했던 발칸반도의 옛 유고연방 국가들(보스니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등)에서 등장하고 있는 신(新)유고주의 흐름을 주목한다. 2025년을 예비하는 유럽의 새로운 정치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스레츠코 호르바트와의 대담을 통해, ‘다른 발칸, 다른 유럽’, 나아가 ‘새로운 국제주의’의 청사진을 들여다본다.

옛 소련에서 분리독립한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도 살핀다. 서구적 근대화에서 지구적 근대화로, 미국적 세계화에서 유라시아적 세계화로 반전하는 흐름들을 현장에서 목도한다.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허브 역할을 했던 중앙아시아 특유의 역사성이 복구되고 있다. 그 역사성의 소생과 더불어 이슬람 문명 또한 귀환한다. 일어사문(一語四文: 아랍, 키릴, 라틴 문자 + 한자)의 풍경이 생동하는 카자흐스탄부터 ‘스톤 로드’를 따라 우즈베키스탄까지, 튀르크-이슬람 세계, 튀르크-유라시아 세계가 유장하게 펼쳐진다.

사상적 측면에서도 동/서 회통의 시각에서 유라시아를 한 몸으로 파악하는 독법을 체득한다. 중화제국의 기독교화를 꿈꾸었던 마테오 리치의 ‘선교’의 길, 17~18세기 유럽에 불어 닥친 ‘중국 열풍’으로부터 촉발된 칸트의 비판철학과 근대 계몽사상 등을 통해 동/서 사상의 융복합과 통섭의 대서사를 비로소 실감한다. 또한 이란의 테헤란에서는 말년에 그곳에서 ‘정치적 영성’의 불꽃을 태웠던 푸코의 흔적을 좇으며 ‘푸코의 재발견’에 신선한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바이칼 호숫가에서는 톨스토이와 춘원 이광수(100년 전 그곳에서 무려 7개월을 지냈다)를 회감하고, 하얼빈에서는 가톨릭과 유교가 회통하여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이 탄생하는 사상적 풍경을 그려낸다.

Point 2 성/속의 대반전

유럽과 아시아의 재통합 못지않게 주목하는 것이 천상과 지상의 분단체제가 극복되어가는 장면이다. 계몽주의 이래 일방적 세속화가 저물고, 재(再)영성화의 물결이 도처에 역력하다. 바티칸과 모스크바에서는 지난 세기까지 천 년간 이어져온 동/서 로마의 갈등이 저물어가는 밀레니엄적 변화를 주시한다. 그리고 종교개혁 500주년과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현지에서 지켜보면서, 러시아에 대한 독특한 안목도 획득한다.

러시아는 현대적인 비잔티움 제국, 정교 대국을 표방한다. 대부분의 국가 행사에서 푸틴 옆에 서 있는 2인자는 키릴 총주교다. 세속의 리더와 영성의 리더가 함께 이끌어가는 것이다. 서로마와 동로마에 이은 ‘북로마’로서 모스크바가 자리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리스-로마-서유럽’으로 전개되는 서로마의 계보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그리스-로마-러시아’의 동로마형 세계사를 선보인다. 로마의 영혼과 몽골의 육체를 결합한 국가가 바로 러시아이며, 러시아가 ‘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대(大)유라시아 연합을 표방하고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EU를 이끌어가는 독일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장기 집권하고 있는 메르켈은 기독교민주당 출신으로(아버지는 동독의 목사로서 민주화운동을 선도했던 사람이다), 성과 속의 분리가 아니라 성/속의 합작으로써 동독을 변혁시키고 통일독일을 꾸려가고 있다. 이는 왜 지난 20세기 프랑스 정치를 양분해왔던 공화당과 사회당이 모두 몰락하고 거듭된 정치 파행을 연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프랑스의 지성 에마뉘엘 토드와 대화를 나누며 ‘세속화=근대화=민주화’라는 20세기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폴란드 사상가 리샤르트 레구트코와 대담하면서는 ‘가톨릭 계몽주의’라는 성/속 합작의 조류를 재발견한다. 그리고 푸틴의 책사이자 러시아의 정교 사상가인 알렉산드르 두긴을 칠고초려 끝에 드디어 만나 인터뷰하면서, 러시아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 도스토옙스키부터 푸틴까지 ‘러시아 정신’의 정수, 혁명과 문명에 대한 성찰, ‘신(新)유라시아주의’와 ‘페레스트로이카 2.0’의 핵심 사상, 나아가 유라시아의 미래를 함께 궁구한다.

아울러 바티칸의 프란치스코 교황이 주도하고 있는 신/구교 합작, 동/서 교회 협동, 기독교와 이슬람의 화해 및 중국과의 국교 맺기 등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세계 최대의 종교 수장과 세계 최대의 국가 지도자의 만남은 성/속이 공진화하는 21세기의 전망을 더욱 밝혀줄 것이다.

Point 3 천 년의 유산 고려인, 백 년의 유산 개벽파 ? 대한민국의 미래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러시아가 천 년간 동진을 거듭하여 동북아의 일원이 되었듯이, 시베리아에 펼쳐진 물길(river)과 철길(rail)을 따라 동북아로 귀환하면서 캄차카반도와 베링 해협까지 눈에 담으면 동북아는 더 이상 극동(far east)이 아니다. 유라시아는 아프리카와 아메리카를 양 날개로 펼치고 있는 지구의 중원(center)이며, 동북아는 그 지구의 허브이자 허파로 자리매김한다. 19세기는 유럽의 동향이 가장 중요했다. 20세기는 아메리카가 세계를 선도했다. 21세기는 동북아다. 이곳에서 어떠한 신문명을 구현하느냐가 ‘인류세(Anthropocene)’에 진입한 이 시대의 집합적 과제가 될 것이다.

저자가 견문의 끝자락에서 일본의 홋카이도(북해도)에 한 달이나 머문 까닭은, 이미 100년 전에 말을 타고 유라시아를 횡단했던 정보장교 후쿠시마의 존재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즉 일본은 20세기 초반부터 이미 ‘동아시아’로 한정되지 않았다. 만주(만추리아)를 통하여 몽골리아와 페르시아와 아라비아까지 아우르는 유라시아 단위로 발상했고, 유라시아의 지식과 정보를 축적하는 싱크탱크(남만주철도회사)까지 갖추었던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사정은 어떠한가. 저자는 중국 심양(선양)에서 17세기 유라시아의 지각변동을 앞서 보았던 소현세자의 불행한 운명을 복기하며, 촛불혁명 이후에도 지리멸렬한 한국의 현재를 근심한다.

지난 백 년 한국의 근대화는 개화파가 주도해왔다. 산업화는 개화 우파가, 민주화는 개화 좌파가 이끌었다. 양 세력을 대변하는 거대 양당은 ‘구시대(87년 체제)의 막내’다. 그러나 새로운 미래는 새로운 역사 인식에서 비롯할 것이다. 지난 백 년을 새롭게 재조명해야 한다. 그래서 저자는 전통을 고수했던 척사파도 아니요 근대를 맹종했던 개화파도 아닌, ‘제3의 길’을 개척한 동학운동 이래 ‘개벽파’에 주목한다. 백 년 전의 ‘개벽파’를 계승하여 현대적으로 세력화하고 세련화하고 세계화하는 것을 향후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저자는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이 남긴 판문점 방명록의 글귀 “새로운 역사는 이제부터”에서, 남과 북이 역사의 객체에서 주체로 대반전하는 다른 백 년의 단서를 발견한다. 1978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의 개혁개방이 세계체제 재편의 추동력이 되었다면, 2018년부터 2048년까지는 북조선의 개혁개방과 한반도의 대전환이 세계체제의 변혁을 선도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김정은은 1980년대 생이다(<알-자지라> 방송은 그를 ‘세계에서 가장 젊은 리더’라고 소개한다). 반면 1980년대에 대학생이었던 한국의 ‘86세대’는 이미 늙었고 늦었다며, 앞으로는 선생과 선배들이 아니라 후생과 후배들이 일을 도모해야 한다고 다짐한다. 이 과업을 수행할 새로운 매체와 새로운 학당과 새로운 정당을 1020세대와 만들어가려고 한다. 2045년 해방 100주년을 준비하는 ‘30년 대계’라 할 만하다.

한국인에서 출발하여 고려인(Korean)으로 돌아가고, 개화파에서 시작하여 개벽파로 귀의하면서 ‘유라시아 견문’을 마감한 저자가 각별히 주목하는 장소는 개성이다. 고려시대의 황도로 ‘개경’이라고 불리던 곳. 열린 도시이자 네트워크 도시였다. 유라시아 허브 도시의 원조 격에 해당한다. 이곳에 20세기형 산업공단을 넓히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21세기형 신문명 창조도시, 스마트 시티로 거듭나야 한다. 또한 개경은 최초의 대학, 국자감이 자리했던 곳이기도 하다. 남/북에 한정되지 않는 유라시아 평화대학, 세계평화대학을 유치할 만하다. 15세기의 베니스, 17세기의 암스테르담, 19세기의 런던, 20세기의 뉴욕을 능가하는 21세기의 ‘개경’을 만들어봄 직하지 않은가.
 

 

 

001 극서의 도시 리스본, 변방과 첨단
- 포르투갈 ‘최후의 십자군’, 대항해 시대를 열다
시나몬, 설탕, 커피… ‘세계의 맛’ / 최초의 지구제국 / 최후의 십자군

002 붉은 산티아고, 구세계와 신세계
- ‘무슬림 킬러’의 길을 따라, 천 년 전쟁의 순례길
순례와 학살 / 검은 마리아, 서양{西洋}과 서구{西歐} / 산티아고 기사단의 후예들 / 천 년 전쟁, 신세계와 구세계

003 리스본의 유럽화, 이베리아의 20세기
- 천 년 중세를 지운 ‘서구’의 탄생
역풍: ‘더러운 전쟁’에서 ‘1974 리스본의 봄’으로 / 냉풍: 태평양에는 하와이, 대서양에는 아조레스 / 열풍: 유럽화로 내달려 ‘서구’의 일원으로 / 삭풍: 새 천년, 축구선수와 농부는 ‘딴 나라’에 산다 / 돌풍: 1755 ‘쇼크 독트린’ 이후

004 바티칸, 개벽의 아이콘
- ‘개벽 교황’ 프란치스코, 성/속을 아우르는 대연정을 펼치다
남과 북: 제3세계 교황의 탄생 / 성과 속: 성전{聖戰}도 아니고 마케팅도 아니며 프로파간다도 아닌 ‘제3의 길’ / 고와 금: 바티칸에는 ‘열린 영성’의 올리브 나무가 자라고 있다 / 동과 서: 바티칸과 베이징의 밀레니엄적 만남

005 가톨릭의 갱신, 천주와 천하
- ‘서양에서 온 선비’ 마테오 리치, 중화제국의 기독교화를 꿈꾸다
서양의 선비, 동양의 바울 / 가톨릭 계몽주의: 교회를 교회답게, 나라를 나라답게 / 서학, 북학, 동학

006 계몽의 변증법, 사서삼경의 유럽화
- ‘중국의 충격’, 칸트의 ‘비판’은 《중용》의 주석서였다
17~18세기 유럽의 중국 열풍, “기독교 없이도 문명국가가 가능해?” / 공맹과 계몽, ‘탈-종교’개혁 / 근대 계몽주의는 유라시아의 합작품이다

007 앙시앵레짐의 수도, 파리
- 21세기는 프랑스에 전혀 호의적이지 않다
내부자들, 강남좌파 대통령 만들기 / 가짜 민주주의: “이것이 공화국이란 말인가?” / 파리의 우울 / ‘샤를리’ 히스테리: 에마뉘엘 토드와의 인터뷰 / 리셋 민주주의: 샹젤리제와 광화문 사이에서

08 테헤란, 열린 역사와 그 적들
- 한 손에는 촛불, 한 손에는 푸코
프레임과 패러다임, 푸코의 재발견 / 푸코의 오리엔트: 정치적 영성 / 푸코의 르포르타주: 계몽이란 무엇인가 / 임을 향한 행진

09 암스테르담, 프리섹스와 토털 사커
- ‘사회적 자유’의 나라 네덜란드, ‘세계화의 덫’에 걸리다
자유와 자연, 암스텔강의 댐 / 공유 사회, 행복은 자전거를 타고 온다 / 역주행, 세계화의 덫

10 로테르담, 서세동점의 끝
- 아시아로의 회귀, ‘축의 이동’ 2.0
동인도회사, ‘축의 이동’ 1.0 / 17세기의 초상, 유럽의 개혁개방 / 또 다른 바다, 아이스 실크로드가 열리다

11 유럽의 수도, 브뤼셀
- 유럽의회와 아세안 사이, 다문화 사회와 다문명 세계
암흑의 핵심: 벨기에의 개선문, 천만 개의 까만 팔뚝 / ‘아세안’의 기적 / ‘1989년 체제’ 이후, ‘다른 유럽’을 위하여

12 보스니아 사라예보, 백 년의 대란
- 500년 다문명 세계의 축복이 20세기의 저주가 되다
유럽의 화약고, 발칸의 예루살렘 / 잃어버린 20세기, 전 지구적 내전 / ‘사라예보의 아이들’

13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제국의 추억
- 청년의 새 정치, “나토는 가고, 티토는 오라!”
호텔 ‘모스크바’, 정교의 기억 / 최후의 유고인, 티토를 그리다 / 1940년대 발칸의 대장정, 사회주의 유고연방의 탄생 / 유고의 자화상: ‘7-6-5-4-3-2-1’

14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종교전쟁 2.0
- 발칸의 홀로코스트, 유고의 킬링필드
국시는 가톨릭, 국책은 개종: “정교 세르비아인을 박멸하라” / 두 번째 독립전쟁과 ‘반공 민주’의 귀환 / 세 번째 유고, 대크로아티아주의와 대세르비아주의의 격돌

15 코소보, 21세기의 신탁통치
- 밀레니엄의 폭탄, 나토는 왜 유고를 공습했나
험로: 1999년 유고로 가는 길 / 발칸의 해체, 유고 지우기 / ‘NEW BORN’, 신생과 환생

16 2025 다른 발칸, 다른 유럽
- 발칸의 개신 좌파, 스레츠코 호르바트와의 대화
‘오다기리 조르바’ / 크로아티아발 ‘전복하라!’ / 이행과 역행: 유고인에서 유럽인으로, 유고 내전에서 유럽 내전으로 / 새로운 국제주의, ‘DiEM 2025’ / 리셋 유라시아

17 정치개혁과 종교개혁은 하나다
- 폴란드 사상가, 리샤르트 레구트코와의 대화
바르샤바의 사대부 / 반공주의와 반-반공주의 / ‘1980’과 ‘1989’, ‘이행’을 넘어 ‘역사적 귀향’ 운동으로 / ‘근대인’, 당신들의 천국 / “나는 공화주의자입니다” / 의로운 사람들의 ‘방주’, 타는 목마름으로

18 부다페스트,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 헝가리의 ‘이행’ 이후, “자유민주주의는 실패했다”
‘부다’와 ‘페스트’ / 빅토르 오르반, 이행과 탈이행 / 열린 사회 vs 열린 역사 / 역류(逆流)와 복류(伏流)

19 아테네, 탈향과 귀향
- 발명된 전통, 그리스는 과연 ‘서구’인가?
검은 아테나: 희랍과 유럽 사이 / 붉은 아테네: ‘서구화된 그리스’의 냉전학 / 그렉시트: 귀농, 귀향, 귀의

20 키예프, 서로마의 끝, 동/북 로마의 시작
- 우크라이나에서 또 다른 로마‘들’을 보다
형제의 난: 혁명인가, 네오-나치 쿠데타인가 / 크림반도, 로마의 환생 / 동/서와 성/속의 공진화

21 베를린의 목자, 메르켈
- ‘독일의 예카테리나’를 꿈꾸다
인격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 유라시아: 동방 정책 2.0 / 유라비아: 제국 2.0 / 재생: 에너지 전환 / 부활: 기독교 민주주의

22 오래된 정원, 예루살렘
- 기독교 민주주의, 복지국가와 복음국가
예루살렘 민주주의 / (동)베를린, 성자들의 행진 / 거대한 파국: 뜻으로 본 역사 / 유럽연합과 천주위공(天主爲公) / 에덴의 동쪽

23 모스크바, 제3의 로마
- 소비에트는 ‘고의식파’ 정교도의 민회였다
부활: 혁명 전후사의 재인식 / 죄와 벌: ‘고의식파’와 인민 교회 / 이바노보 소비에트: 혁명의 고층(古層) / 승천: 정교 국가, 레닌과 푸틴

24 유라시아의 대장부, 푸틴
- 리셋 러시아, ‘탈구입아’(脫毆入亞)를 선언하다
수신제가치국 / 평천하(1): 정교 대국 / 평천하(2): 대(大)유라시아 / 업어치기

25 신유라시아주의: 페레스트로이카 2.0
- 푸틴의 책사, 알렉산드르 두긴과의 대화
칠고초려 / 성찰: 혁명과 문명 / 보수주의: ‘유기적 민주주의’ / 비잔티움제국 2.0: 심포니와 하모니 / 페레스트로이카 2.0: 러시아의 러시아화 / 범이슬람주의, 범튀르크주의, 범아시아주의

26 상트페테르부르크, 유럽과 유라시아
- 유라시아의 새판 짜기, 국제경제포럼을 가다
변심(變心): 유럽으로의 창 / 회심(回心): 서유라시아의 허브 / 항심(恒心): 포스트-웨스트

27 카잔, 러시아제국과 이슬람 문명
- 거룩한 혁명, 무슬림 공산주의자들의 해방구
타타르스탄의 ‘할랄 보드카’ / 모스크바와 이스탄불 사이 / 이슬람 문명과 공산혁명 사이 / 예언자

28 아스타나, 카자흐스탄의 봄
- 통하면 아프지 않고, 통하지 않으면 아프다
지하(地下): 기와 혈 / 지상(地上): 중앙아시아의 허브 / 천상(天上): 디지털 움마 / 천하(天下): 일어사문(一語四文)

29 스톤 로드, 튀르크-유라시아 세계
- 우즈베키스탄에서 ‘튀르크 분단체제’의 종말을 보다
타슈켄트: 소비에트 도시 / 부하라: 스톤 로드 / 사마르칸트: 모바일 월드 / 아프라시아브: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30 바이칼, 환생과 부활
- 귀로의 시작, ‘신성한 바다’에 발을 담그다
이르쿠츠크: 동방의 상트페테르부르크 / 바이칼: 신성한 바다 / 울란우데: 설화와 ‘샤먼 라마’ / 치타: 춘원과 톨스토이

31 시베리아, 제국의 감각, 감각의 제국
- 시베리아가 없었다면 러시아도 없다
모피길: 대항하(大航河) 시대 / 시베리아 횡단철도: 붉은 열차 / 시베리아의 힘: 가스 로드 / 감각의 제국

32 블라디보스토크, 동아시아와 동유라시아
- 개척 도시, ‘동방을 지배하라’
러시아와 아시아 / 동구의 충격 / 연해주와 발해길 / 사통팔달, 마지막 ‘지리상의 발견’

33 삿포로, 제국의 저력
- 메이지유신 150년, 반일(反日)은 쉽다
단기필마, 19세기의 유라시아 견문 / 만추리아와 몽골리아 / 페르시아와 아라비아 / 친일, 반일, 항일

34 하얼빈, 동유라시아 평화론
- 아무르/흑룡강 세계의 귀환
아무르강과 흑룡강 / 천하대란: 혁명과 혁명, 전쟁과 전쟁 / 천하와 천주: ‘모던 선비’ 안중근 / 만저우리, 미래 도시의 미니어처

35 심양, 소현의 꿈
- 중국의 서진, 러시아의 동진, 조선의 자폐
한양과 심양 / 성경과 북경 / 북벌과 북학 / 개화와 개벽, 신시대와 신천하

36 에필로그
- 재조산하(再造山河), 개조천하(改造天下)
신극서(New Far West) / 신중서(New Middle West) / 신근서(New Near West) / 신중원(新中原) / Make Eurasia-Korea Great Again

 

 

  1. [한국의 철학자들], 조성환, 2023, 모시는사람들.

      <책소개>    한국철학을 한 사람들을 소개하며 대화를 하듯 철학하기를 시도하는 책이다. 최치원과 원효로부터 가장 최근의 동학이나 생명평화운동에 이르기까지 2000년 한국철학사를 논구한다. 철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철학자’의 철학하는 법을 ...
    Date2023.09.27 ByNEAD Views189
    Read More
  2. [K-사상사], 조성환, 2023, 다른백년.

      <책소개>   “한울은 동학의 가이아, 가이아는 서양의 한울이다” 근대적 인간관과 자연관이 무너진 자리에서, 인류세 철학과 기학의 대화로 ‘인류세의 기학’을 모색하다 지금 우리는 인간이 기후를 변화시킨 시대, 즉 ‘인류세’를 살고 있다. 인류세는 인간의...
    Date2023.09.27 ByNEAD Views151
    Read More
  3. [키워드로 읽는 한국철학] 조성환지음, 2022, 모시는사람들

            <책소개>    이 책은 중국철학과 서양철학 사이-너머 독자성과 독창성과 보편성을 갖춘 한국철학의 틀을 새롭게 구성하는 시도를,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철학 교양서이다. 중국철학의 아(亞)-철학, 서양철학 이해의 도구로만 주로 기능해 ...
    Date2022.12.15 By마르셀 Views204
    Read More
  4. [대한독립대장정] 김주용 지음, 2021, 선인

        19세기말 20세기 중반까지 동북아 지역은 제국주의 광풍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우리 민족사에서 일제강점기는 암울했던 시기라고 일컫는다. 이민족의 지배로 인한 한국사의 시간과 공간이 송두리째 변형된 시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민족의 저력은 여기...
    Date2021.03.02 By마르셀 Views250
    Read More
  5. [무당과 유생의 대결 - 조선의 성상파괴와 종교개혁] 한승훈 지음, 2021, 사우.

      조선의 종교개혁 과정에서 벌어진 성상파괴와 신들을 둘러싼 경쟁 이 책은 조선시대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전개된 종교개혁의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조선은 유교를 통해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조선이 건국되는 시점에...
    Date2021.03.02 By마르셀 Views801
    Read More
  6. [노동으로 보는 중국], 정규식 지음, 2019, 나름북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인가, 자본주의 국가인가 현실의 모순이 가장 격렬하게 드러나는 노동문제에 관한 탐색 시장 대 계획, 민주 대 독재, 국가 대 사회라는 이분법적 대립 도식으로는 더 이상 중국을 설명할 수 없다. 과거에는 자본주의를 넘어설 가능성으로...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73
    Read More
  7. [붉은 아시아], 이병한 지음, 2019, 서해문집

          책소개 붉은 아시아, 지리상의 발견 동아시아 냉전의 재인식, 역사상의 재발견 ‘죽의 장막’ 너머의 1945-1991, 잊혀진 절반의 동아시아사 20세기 세계냉전사는 흔히 ‘미국vs.소련’ ‘서구vs.동구’ ‘자유주의진영vs.사회주의진영’ 구도로 발설되고 전자들...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30
    Read More
  8. [유라시아 견문3] 이병한 지음, 2019, 서해문집

      1,000일간의 유라시아 대장정을 마치고 돌아온 역사학자 이병한의 뜨거운 책, 《유라시아 견문》 3부작 완간! “연암 박지원처럼 생각하고 유발 하라리처럼 쓴, 이 시대의 문명 박물지” 젊은 역사학자 이병한의 장대한 대서사, 《유라시아 견문》 3부작이 드...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54
    Read More
  9.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 이주, 저항, 정착의 점이지대] 김주용 저, 2018, 도서출판 경인

      책 소개 2018년 4월 대한민국과 북한의 정상이 판문점에서 만났다. 분단 이후 처음으로 판문점에서 만난 두 정상에 대해 국제사회에 관심은 뜨거울 수밖에 없었다. 전 세계 수많은 학자들은 저마다의 高見을 TV나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연신 토해내기도 ...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