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서

본문시작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구성원이 저술한 도서를 소개합니다.

조회 수 1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국의 철학자들.jpg

 

<책소개>

 

 한국철학을 한 사람들을 소개하며 대화를 하듯 철학하기를 시도하는 책이다. 최치원과 원효로부터 가장 최근의 동학이나 생명평화운동에 이르기까지 2000년 한국철학사를 논구한다. 철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철학자’의 철학하는 법을 견문하면서, 스스로 그리고 함께 ‘한국철학하기’를 도모한다. 한국철학은 중국에서 유래하는 유교, 불교, 도교 포함삼교와 접화군생의 풍류정신에 담아 조화함으로써, 한국인의 사유 방식을 드러내고 특유의 한국철학을 만들어 나갔다. 한국철학의 근본원리를 잘 이해하면, 오늘 K-POP과 같은 한류가 어떻게 세계적인 호응을 얻게 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대학 수업을 진행하듯이 전체 15강으로 구성하여, 이해의 깊이를 더하면서도, 결국은 내 철학함의 끈을 놓치지 않고 ‘내 철학’을 하게 한다. 한국철학의 기초원리, 다시 말하면 한국인 자신에게 가장 익숙한 사유방식의 원리를 깨우침으로써 자아와, 사회, 그리고 세계에 대한 문해력이 높아짐을 느끼게 해 주는 책이다.
 

 

<목차> 

 

  • 프롤로그

    제1강┃공자_ 창조하지 않는 학습
    ‘대학’이라는 말의 기원 | 스승의 말씀이 경전 | ‘학습’의 어원 | 세상을 대하는 태도 | 학습을 중시하는 유학 | 고정성을 싫어하는 중국인 | 창조하지 않는 학습 | 배우는 大學(대학)과 연구하는 university | 말이 없고자 하는 공자

    제2강┃노자_ 꼰대가 되지 않는 도덕
    사회를 바꾸는 도덕 | 노자와 도덕 | 도와 덕 | 무위와 자연 | 혼돈의 죽음 | ‘없음’의 철학 | 도를 하면 날로 줄어든다 | 하늘을 하면 날로 밝아진다 | 천하를 천하에 숨긴다

    제3강┃가르침_ 중국인이 된 부처님
    유학의 조건 | 유학에서 유교로 | 불도에서 불교로 | 신선도에서 도교로 | 노장의 반교(反敎) 사상 | 교(敎)와 종교(religion)

    제4강┃성리학_ 이치를 따지는 선비
    심학(心學)의 등장 | 理(리)와 principle | 理(리)와 reason | 도(道)에서 리(理)로 | 어우러짐으로서의 리(理) | 유교에서의 리(理)의 수용 | 주자의 종합 | 리(理)가 된 인(仁) | 자연지리와 당연지리 | 하늘은 리일 뿐이다 | 조선의 주자학 수용

    제5강┃최치원_ 철학을 넘나드는 화랑
    고운(孤雲)과 수운(水雲) | 당나라에서 과거에 합격하다 | 중국인과의 친교 | 신라로의 귀국 | 동방과 동학 | 고국에서의 좌절 | 신라의 개혁가 | 삼교를 넘나드는 유학자 | ‘포함’의 철학적 의미 | ‘어우러짐’으로서의 풍류 | 기대지 않는 아이덴티티 | 제도화된 신선

    제6강┃원효_ 코끼리를 말하는 장님
    원효와 화쟁 | 원효의 『십문·화쟁·론』 | 공(空)과 유(有)의 언쟁 | 화쟁과 회통 | 화쟁과 제물 | 같음과 다름 | 하나의 마음과 두 개의 문(一心二門) | 모두 일리가 있다

    제7강┃실록_ 왕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
    『고려대장경』에서 『일본대장경』으로 | 『팔만대장경』에서 『조선왕조실록』으로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4위 | 후세를 위해 쓰는 일기 | 후세에 믿음을 전하다 | 있는 그대로 쓰다 | 왕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 하늘을 두려워하는 군주 | 사물에서 이치를 궁구하라 | 하늘은 이치 위에 있다 | 하늘과 사람이 하나 된다 | 경건함에 의한 영성정치 | 유학의 경(敬)과 동학의 경(敬) | 천도를 숭상하라 | 도덕적 이상사회 건설

    제8강┃세종_ 창조를 하는 임금
    철인왕 세종 | 백성과 함께 하라 | ‘여민가의’의 정치철학 | 백성 속으로! | 중국의 공공(公共) | 세종의 공공(公共) | 실학을 추구한 군주 | 백성도 알게 하라 | 번역의 필요성 | 새로운 문자의 탄생 | 비밀스런 창조 | ‘작’에 대한 반발 | 세종과 공자

    제9강┃이황_ 철학을 그리는 사람들
    주자학의 수용 | 철학을 그린 철학자 | 정지운과의 운명적 만남 | 제자의 작품을 대하는 태도 | 퇴계의 깐깐한 반응 | 두 철학자의 합작 | 「천명도설후서」와 『훈민정음해례본』 | 창작에 대한 반발 | 대작 같지 않은 대작 | 태극에서 사람으로 | 과객의 최후 반격 | 퇴계의 최후 반론 | 퇴계 다시 보기

    제10강┃홍대용_ 미지의 세계와의 만남
    미지(未知)와의 조우 | 새로운 학풍의 등장 | 오랑캐를 배우자 | 홍대용의 사상적 전환 | 서양 선교사와의 만남 | 무례한 조선인들 | 홍대용의 관심 | 선교사와의 만남 | 다시 만남을 청하다 | 천학문답(天學問答) | 과학 견학 | 철학 대화를 저술하다 | 허자와 실옹의 만남 | 사람과 사물의 균등 | 땅은 회전한다 | 자연이 진리다 | 실심과 실학

    제11강┃정약용_ 하느님을 믿는 유학자
    두 개의 다산관 | 유교에 일어난 파문 | 예(禮)의 가르침 | 두 개의 천학 | 새로운 가르침 | 천주가 부모다 | 하늘에서 하느님으로 | 최시형의 천지부모론 | 상제를 말하는 조선 유학 | ‘님’이 된 리 | 하늘은 어디에나 있다 | 지각을 하는 상제 | 천주 같은 상제 | 인간에 대한 재규정 | 인(仁)의 재해석 | 행사로서의 인(仁) | 정약용과 마테오 리치 | 서학적 유학, 유학적 서학

    제12강┃동학_ 새로운 하늘의 탄생
    사상사의 전환 | 전통의 한계 | 서세의 위협 | 보국안민의 계책 | 계시의 하늘님 | 개벽의 메시지 | 불완전한 하늘님 | 최제우의 다시개벽 | 혁명에서 개벽으로 | 관계의 대전환 | 주문의 해석 | 성인(聖人)에서 천인(天人)으로 | 교화와 개화 | 개벽과 개화 | 변찬린의 개천사상 | 개벽의 인식론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천도(賤道)에서 천도(天道)로

    제13강┃최시형_ 새끼를 꼬는 하늘님
    포덕과 좌도 | 양명학과 동학 | 수운에서 해월로┃동학의 일기(一氣) | 천지가 부모다 | 해월의 천지포태설 | 도덕에 의한 다시개벽 | 사람의 말이 하늘의 말이다 | 만물 속의 신성 | 신성한 나의 발견 | 하늘이 나이다 | 하늘과 인간의 상호협력 | 밥 한 그릇의 이치 | 탈아와 입구 사이 | 개벽적 개화의 추진 | 도덕적 진화론 | 천하에서 세계로 | 새끼를 꼬는 성인 | 생각하는 하느님

    제14강┃원불교_ 진리는 둥글다
    라이프스타일을 개벽하자 | 민중들의 실학운동 | 현실이 참 경전이다 | 세계는 하나의 기운이다 | 이웃의 동상을 세우자 | 개벽의 문을 열자 | 다원주의와 회통주의 | 종교는 많을수록 좋다 | 천하가 내 집이다 | 천하를 천하에 숨기다 | 원불교에서의 자유 | 천지를 따르는 자유 | 자유평화의 문명세계 | 살림학 프로그램 | 수양의 대중화 | 자기를 표현하는 훈련 | 자기로부터의 개벽

    제15강┃생명평화_ 생명과 평화를 꿈꾸다
    보은취회의 생명운동 | 이돈화의 동학 해석 | 철학화된 하늘 | 생명을 자각하는 인간 | 윤노빈의 신생철학 | 김지하의 개벽사상 | 원주의 생명학파 | 장일순의 회심 | 생명에 대한 자각 | 생명평화운동의 시작 | 생명평화운동의 확장 | 생명해방과 생명평화 | 최초의 평화집회 | 생명평화운동의 대장정 | 『폐허』·『개벽』·『창조』

    에필로그

 

 

<저자 소개>

 

저: 조성환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조교수. 지구지역학 연구자. 서강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에서 수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원광대학교에서 역사와 종교를 공부했다. 20대에는 집합론과 대수학에 빠졌고, 30대에는 노장사상에 끌려 중국 철학을 공부했다. 40대부터는 한국학에 눈을 떠 동학사상과 개벽파를 연구했다. 최근에는 1990년대에 서양에서 대두되기 시작한 ‘지구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2019년에는 이병한과 함께 사단법인 다른백년 홈페이지에 칼럼 〈개벽파선언〉을 연재했고, 2022년에는 단독으로 〈K-사상사〉를 연재했다. 지은 책으로 『키워드로 읽는 한국철학』(모시는사람들, 2022),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퇴계ㆍ다산ㆍ동학의 하늘철학』(소나무, 2022), 『한국 근대의 탄생: 개화에서 개벽으로』(모시는사람들, 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인류세의 철학: 사변적 실재론 이후의 ‘인간의 조건’』(시노하라 마사타케 지음·공역, 모시는사람들, 2022),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리(理)와 기(氣)로 해석한 한국 사회』(오구라 기조 지음, 모시는사람들, 2017), 『일본에서 일본인들과 나눈 공공철학 대화』(김태창·이케모토 케이코 공저, 모시는사람들, 2017) 등이 있다.

 


  1. [한국의 철학자들], 조성환, 2023, 모시는사람들.

      <책소개>    한국철학을 한 사람들을 소개하며 대화를 하듯 철학하기를 시도하는 책이다. 최치원과 원효로부터 가장 최근의 동학이나 생명평화운동에 이르기까지 2000년 한국철학사를 논구한다. 철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철학자’의 철학하는 법을 ...
    Date2023.09.27 ByNEAD Views186
    Read More
  2. [K-사상사], 조성환, 2023, 다른백년.

      <책소개>   “한울은 동학의 가이아, 가이아는 서양의 한울이다” 근대적 인간관과 자연관이 무너진 자리에서, 인류세 철학과 기학의 대화로 ‘인류세의 기학’을 모색하다 지금 우리는 인간이 기후를 변화시킨 시대, 즉 ‘인류세’를 살고 있다. 인류세는 인간의...
    Date2023.09.27 ByNEAD Views148
    Read More
  3. [키워드로 읽는 한국철학] 조성환지음, 2022, 모시는사람들

            <책소개>    이 책은 중국철학과 서양철학 사이-너머 독자성과 독창성과 보편성을 갖춘 한국철학의 틀을 새롭게 구성하는 시도를,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철학 교양서이다. 중국철학의 아(亞)-철학, 서양철학 이해의 도구로만 주로 기능해 ...
    Date2022.12.15 By마르셀 Views200
    Read More
  4. [대한독립대장정] 김주용 지음, 2021, 선인

        19세기말 20세기 중반까지 동북아 지역은 제국주의 광풍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우리 민족사에서 일제강점기는 암울했던 시기라고 일컫는다. 이민족의 지배로 인한 한국사의 시간과 공간이 송두리째 변형된 시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민족의 저력은 여기...
    Date2021.03.02 By마르셀 Views246
    Read More
  5. [무당과 유생의 대결 - 조선의 성상파괴와 종교개혁] 한승훈 지음, 2021, 사우.

      조선의 종교개혁 과정에서 벌어진 성상파괴와 신들을 둘러싼 경쟁 이 책은 조선시대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전개된 종교개혁의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조선은 유교를 통해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조선이 건국되는 시점에...
    Date2021.03.02 By마르셀 Views795
    Read More
  6. [노동으로 보는 중국], 정규식 지음, 2019, 나름북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인가, 자본주의 국가인가 현실의 모순이 가장 격렬하게 드러나는 노동문제에 관한 탐색 시장 대 계획, 민주 대 독재, 국가 대 사회라는 이분법적 대립 도식으로는 더 이상 중국을 설명할 수 없다. 과거에는 자본주의를 넘어설 가능성으로...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69
    Read More
  7. [붉은 아시아], 이병한 지음, 2019, 서해문집

          책소개 붉은 아시아, 지리상의 발견 동아시아 냉전의 재인식, 역사상의 재발견 ‘죽의 장막’ 너머의 1945-1991, 잊혀진 절반의 동아시아사 20세기 세계냉전사는 흔히 ‘미국vs.소련’ ‘서구vs.동구’ ‘자유주의진영vs.사회주의진영’ 구도로 발설되고 전자들...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26
    Read More
  8. [유라시아 견문3] 이병한 지음, 2019, 서해문집

      1,000일간의 유라시아 대장정을 마치고 돌아온 역사학자 이병한의 뜨거운 책, 《유라시아 견문》 3부작 완간! “연암 박지원처럼 생각하고 유발 하라리처럼 쓴, 이 시대의 문명 박물지” 젊은 역사학자 이병한의 장대한 대서사, 《유라시아 견문》 3부작이 드...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50
    Read More
  9.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 이주, 저항, 정착의 점이지대] 김주용 저, 2018, 도서출판 경인

      책 소개 2018년 4월 대한민국과 북한의 정상이 판문점에서 만났다. 분단 이후 처음으로 판문점에서 만난 두 정상에 대해 국제사회에 관심은 뜨거울 수밖에 없었다. 전 세계 수많은 학자들은 저마다의 高見을 TV나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연신 토해내기도 ...
    Date2020.12.03 By마르셀 Views2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